2024.06.03 (월)

  • 맑음속초16.6℃
  • 맑음14.1℃
  • 맑음철원13.3℃
  • 맑음동두천14.6℃
  • 맑음파주15.4℃
  • 맑음대관령6.0℃
  • 맑음춘천14.4℃
  • 맑음백령도18.1℃
  • 맑음북강릉15.8℃
  • 맑음강릉14.5℃
  • 맑음동해15.7℃
  • 맑음서울17.3℃
  • 맑음인천17.4℃
  • 맑음원주15.3℃
  • 구름많음울릉도15.2℃
  • 맑음수원18.0℃
  • 맑음영월15.2℃
  • 맑음충주15.9℃
  • 맑음서산17.1℃
  • 맑음울진15.4℃
  • 맑음청주17.5℃
  • 맑음대전16.2℃
  • 구름많음추풍령14.1℃
  • 구름조금안동15.6℃
  • 구름많음상주14.5℃
  • 구름조금포항17.0℃
  • 맑음군산15.4℃
  • 구름많음대구16.7℃
  • 맑음전주16.5℃
  • 구름많음울산16.3℃
  • 구름조금창원17.7℃
  • 맑음광주16.3℃
  • 구름많음부산17.1℃
  • 맑음통영16.8℃
  • 구름조금목포17.5℃
  • 맑음여수17.9℃
  • 구름조금흑산도18.4℃
  • 맑음완도18.6℃
  • 맑음고창15.7℃
  • 맑음순천12.2℃
  • 맑음홍성(예)15.5℃
  • 맑음14.7℃
  • 구름많음제주18.5℃
  • 맑음고산19.7℃
  • 구름조금성산20.0℃
  • 구름조금서귀포21.5℃
  • 구름조금진주16.3℃
  • 맑음강화17.0℃
  • 맑음양평14.4℃
  • 맑음이천15.6℃
  • 맑음인제11.8℃
  • 맑음홍천13.1℃
  • 구름많음태백10.2℃
  • 흐림정선군11.6℃
  • 맑음제천14.5℃
  • 맑음보은12.9℃
  • 맑음천안13.9℃
  • 맑음보령17.2℃
  • 맑음부여14.4℃
  • 맑음금산13.8℃
  • 맑음16.3℃
  • 맑음부안17.0℃
  • 맑음임실12.6℃
  • 맑음정읍15.2℃
  • 맑음남원14.1℃
  • 맑음장수11.3℃
  • 맑음고창군14.8℃
  • 맑음영광군14.9℃
  • 구름조금김해시16.7℃
  • 맑음순창군14.1℃
  • 구름조금북창원18.6℃
  • 구름많음양산시18.1℃
  • 맑음보성군16.1℃
  • 맑음강진군15.7℃
  • 맑음장흥14.5℃
  • 맑음해남15.3℃
  • 맑음고흥16.4℃
  • 구름조금의령군15.7℃
  • 맑음함양군13.6℃
  • 맑음광양시16.4℃
  • 맑음진도군15.5℃
  • 맑음봉화15.1℃
  • 구름많음영주15.4℃
  • 구름조금문경14.9℃
  • 맑음청송군15.6℃
  • 맑음영덕15.7℃
  • 맑음의성14.9℃
  • 구름많음구미16.5℃
  • 구름많음영천15.5℃
  • 흐림경주시16.2℃
  • 맑음거창13.9℃
  • 흐림합천15.3℃
  • 구름조금밀양16.6℃
  • 맑음산청14.2℃
  • 맑음거제17.9℃
  • 맑음남해17.8℃
  • 구름많음18.0℃
기상청 제공
紙上에 처음 公開되는 河東의 茶詩 散策(119) 역자(譯者) 정경문(茗谷 鄭慶文)
  • 해당된 기사를 공유합니다

자료보존

紙上에 처음 公開되는 河東의 茶詩 散策(119) 역자(譯者) 정경문(茗谷 鄭慶文)

紙上에 처음 公開되는 

河東의 茶詩 散策(119)

 

역자(譯者) 정경문(茗谷 鄭慶文)

雪朝(설조)

김병립(愚石 金炳立)

- 눈이 내리는 아침 -

千樹梨花四望遙(천수리화사망요) 온 산에 배꽃 피어 사방이 아득한데,

臘天天色似春朝(닙천천색사춘조) 섣달의 하늘빛은 봄날의 아침 같네.

層崖絶壁皆彌合(층애절벽개미합) 깎아지른 벼랑을 눈이 모두 메우니,

走獸飛禽盡寂寥(주수비금진적요) 길짐승과 나는 새 모두 고요하구나.

 

携妓龍門心賞足(휴기용문심상족) 龍門에서 기녀와 놀던 일 마음 족하고,

傍梅羅岫夢魂銷(방매라수몽혼소) 산봉우리 곁 매화는 꿈같이 사라지네.

家僮取此煎茶供(가동취차전다공) 동자아이 시켜서 차 달여 대접하니,

都把窮愁一快澆(도파궁수일쾌요) 답답한 수심이 상쾌하게 사라지네.

 

臘天(납천) : 섣달.

層崖絶壁(층애절벽) : 많은 바위들이 겹겹이 쌓인 험한 언덕이나 낭떠러지.

彌合(미합) : 메우다, 보충하다,

龍門(용문) : 용문산방(龍門山房)으로 옥종면(玉宗面) 월횡리(月橫里) 제마산(帝馬山)에 조용숙(復齋 趙鏞肅)이 소축(小築)하였다.

魂銷(혼소) : 혼이 사라졌다는 뜻으로, 생기가 없어져 정신(精神)을 못차림.

家僮(가동) : 집안 심부름을 맡아 하는 어린 사내 종.

煎茶(전다, 전차) : 차를 달임. 다기(茶器)에 찻잎을 담아 물을 끓여 부어 우려내어 마시는 차. 팽다(烹茶).

 

※ 하동과 관련된 차시(茶詩)로는 “만산정연구(晩山亭聯句)”,“차조주사옥양정운(次趙主事玉陽亭韻)”등 3수(首)가 있으며, 시(詩)로는 “동제우등이명산(同諸友登理明山)”,“근차뇌계선생악양정운(謹次㵢溪先生岳陽亭韻)”등 17수(首)가 있다.

 

 

김병립[愚石 金炳立.1863(철종14)~1946]. 

字:재형(在衡). 號:우석(愚石),관회(灌晦). 本貫:용궁(龍宮). 住:양보면(良甫面) 우복리(愚伏里). 文集《우석집(愚石集)》. 최숙민(溪南 崔琡民)의 문인(門人). 부모에 대한 효심(孝心)이 깊었으며, 이택환(晦山 李宅煥), 김현옥(山石 金顯玉), 최제겸(柏川 崔濟謙)등 여러 선비들과 학문을 토론하였으며, 만년(晩年)에 양보면(良甫面) 우복리(愚伏里) 청금대(聽琴臺) 아래에 낙산재(樂山齋)를 소축(所築)하여 장수식유(藏修息遊)하였다.

 

 
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
포토






모바일 버전으로 보기